돌 전후 아이의 발달 과정 중 병원에 가야 하는 신호 10가지
안녕하세요, 여러분! 아기가 돌 무렵이 되면 걷기 시작하고 말문도 조금씩 트이면서 정말 하루가 다르게 성장하죠? 하지만 이 시기에는 면역력이 아직 완전히 자리 잡지 않아서 아픈 날도 많아지고, 여러 가지 건강 문제도 생길 수 있어요. 그렇다면 어떤 상황에서 병원에 가야 할까요?
오늘은 돌 전후 아이가 보내는 "병원 가야 해요!" 신호 10가지를 알아볼게요. 부모라면 꼭 알아둬야 할 중요한 내용이니까 끝까지 읽어보세요! 😊
1. 고열이 3일 이상 지속될 때
💡 왜 위험할까요?
- 돌 전후 아기들은 감기에 자주 걸리지만, 고열이 계속되면 단순 감기가 아닐 수도 있어요.
- 열이 너무 오래 지속되면 탈수나 열성 경련 같은 증상이 올 수도 있어요.
🚑 병원에 가야 하는 기준
- 38.5℃ 이상이 3일 이상 지속될 때
- 해열제를 먹여도 효과가 없을 때
- 열과 함께 발진이 나타날 때
📌 TIP: 열이 날 때는 미지근한 물수건으로 몸을 닦아주고, 충분한 수분을 섭취하게 해주세요.
2. 호흡이 거칠거나 쌕쌕거릴 때
💡 왜 위험할까요?
-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, 천식 등의 신호일 수 있어요.
- 호흡 곤란이 심하면 산소 공급이 부족해질 수 있어요.
🚑 병원에 가야 하는 기준
- 평소보다 숨을 빠르게 몰아쉬거나 쌕쌕거리는 소리가 날 때
- 가슴이나 갈비뼈가 안으로 쑥쑥 들어가는 모습이 보일 때
- 숨 쉬는 게 힘들어 보이고 입술이 푸르게 변할 때
📌 TIP: 갑자기 호흡 곤란이 오면 응급실로 가야 해요. 특히 기도가 막힌 경우엔 바로 119에 신고하세요!
3. 심한 설사와 구토를 반복할 때
💡 왜 위험할까요?
- 영유아는 탈수가 빠르게 진행될 수 있어요.
- 바이러스성 장염이나 세균 감염이 원인일 수 있어요.
🚑 병원에 가야 하는 기준
- 하루 6~7번 이상 설사할 때
- 12시간 동안 소변을 보지 않을 때 (탈수 위험!)
- 구토가 계속되면서 물도 못 삼킬 때
📌 TIP: 전해질 용액(예: 경구 수액)을 조금씩 먹여서 탈수를 막아주세요.
4. 발진과 함께 열이 날 때
💡 왜 위험할까요?
- 돌발진이나 수족구병, 홍역 같은 질환일 수 있어요.
- 피부 감염이 있는 경우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어요.
🚑 병원에 가야 하는 기준
- 발진이 퍼지면서 고열이 동반될 때
- 물집이 생기거나 피부가 갈라지는 경우
- 발진 부위가 부어오르거나 진물이 날 때
📌 TIP: 원인을 모르는 발진이 나타나면 바로 병원에 가보세요!
5. 귀를 자꾸 잡아당기고 보챌 때
💡 왜 위험할까요?
- 중이염일 가능성이 높아요.
- 치료하지 않으면 청력에 영향을 줄 수도 있어요.
🚑 병원에 가야 하는 기준
- 열과 함께 귀를 자주 만질 때
- 귓속에서 진물이나 고름이 나올 때
- 소리에 반응이 둔해 보일 때
📌 TIP: 중이염 예방을 위해 아기에게 분유나 모유를 먹일 때 눕혀서 먹이지 않는 게 좋아요!
6. 갑자기 걷지 못하거나 절뚝거릴 때
💡 왜 위험할까요?
- 성장판 손상, 염증, 고관절 탈구 등의 문제일 수 있어요.
🚑 병원에 가야 하는 기준
- 갑자기 다리를 절거나 걷기를 거부할 때
- 부어오름이나 멍이 생겼을 때
- 다리를 만지면 심하게 아파할 때
📌 TIP: 아기가 다리를 다쳤다면 바로 얼음찜질을 하고 병원에 가보세요.
7. 이유 없이 너무 많이 보채고 울 때
💡 왜 위험할까요?
- 장중첩증, 위식도 역류, 심한 변비 등의 가능성이 있어요.
- 극심한 통증 때문일 수 있어요.
🚑 병원에 가야 하는 기준
- 평소보다 심하게 보채고 진정이 안 될 때
- 배를 만졌을 때 심하게 울거나 뻣뻣해질 때
- 울다가 갑자기 축 처지거나 무기력해질 때
📌 TIP: 단순히 피곤해서 보채는 게 아니라면 원인을 찾아보는 게 중요해요!
8. 눈이 부어오르거나 충혈될 때
💡 왜 위험할까요?
- 결막염이나 눈 감염일 가능성이 있어요.
🚑 병원에 가야 하는 기준
- 눈곱이 많아지고 눈이 붉게 충혈될 때
- 한쪽 눈만 심하게 부어오를 때
- 눈을 자꾸 비비고 가려워할 때
📌 TIP: 아기 손을 깨끗이 씻기고 눈을 만지지 않도록 주의해주세요.
9. 이유 없이 체중이 줄어들 때
💡 왜 위험할까요?
- 영양 결핍, 대사 질환, 내분비 문제일 수 있어요.
🚑 병원에 가야 하는 기준
- 잘 먹는데도 체중이 줄어들 때
- 한 달 동안 체중 증가가 전혀 없을 때
- 얼굴이 창백해지고 무기력할 때
📌 TIP: 돌 이후에도 성장곡선을 체크하면서 이상이 없는지 살펴보세요!
10. 경련이 나타날 때
💡 왜 위험할까요?
- 열성 경련이나 신경계 이상일 가능성이 있어요.
🚑 병원에 가야 하는 기준
- 갑자기 몸을 떨거나 의식이 희미해질 때
- 경련이 5분 이상 지속될 때
- 경련 후에도 의식이 돌아오지 않을 때
📌 TIP: 경련이 발생하면 옆으로 눕히고 기도가 막히지 않도록 해주세요. 🚑
아기가 아프면 부모도 정말 마음이 조마조마하죠. 하지만 미리 위험 신호를 알고 있으면 당황하지 않고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어요. 우리 아이가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, 오늘 배운 내용을 꼭 기억해주세요! 😊